Contents
✅ 1. EC2 로그인 정보☑️ 1) IP 주소☑️ 2) Username☑️ 3) Password✅ 2. EC2 로그인 (SSH)☑️ 1) 클라우드를 통한 접속☑️ 2) Windows에서 접속☑️ 3) MacOS에서 접속✅ 3. Windows에서 로그인하기☑️ 1) Xshell 접속☑️ 2) 인스턴스 연결 정보 입력 ☑️ 3) 사용자 인증☑️ 4) 연결☑️ 5) 주의사항✅ 4. Xftp를 통해 Spring Boot 프로젝트 EC2에 올리기☑️ 1)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☑️ 2) Xftp 다운로드☑️ 3) Xftp 실행 후 세션 정보 입력 ☑️ 4) 파일 전송☑️ 5) 전송 성공 여부 확인✅ 1. EC2 로그인 정보☑️ 1) IP 주소☑️ 2) Username☑️ 3) Password✅ 2. EC2 로그인 (SSH)☑️ 1) 클라우드를 통한 접속☑️ 2) Windows에서 접속☑️ 3) MacOS에서 접속✅ 3. Windows에서 로그인하기☑️ 1) Xshell 접속☑️ 2) 인스턴스 연결 정보 입력 ☑️ 3) 사용자 인증☑️ 4) 연결☑️ 5) 주의사항✅ 4. Xftp를 통해 Spring Boot 프로젝트 EC2에 올리기☑️ 1)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☑️ 2) Xftp 다운로드☑️ 3) Xftp 실행 후 세션 정보 입력 ☑️ 4) 파일 전송☑️ 5) 전송 성공 여부 확인
✅ 1. EC2 로그인 정보
AWS 클라우드에 생성한 EC2에 원격 로그인을 해보자.
먼저, 로그인을 하기 위해 3가지 정보가 필요하다.
- IP 주소
- Username
- Password
☑️ 1) IP 주소
IP 주소는 AWS의 EC2에 들어가 퍼블릭 IPv4 주소를 확인하면 된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1da5b3fc-7478-4ac7-8273-7c32a24a8382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061f98e4-961c-4a91-8b54-39e5a9ef4258%26cache%3Dv2&w=384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☑️ 2) Username
EC2를 만들 때,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운영체제마다 Default User name이 다르다. 아래 사이트에서 해당하는 유저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61ff17f2-8fc1-47ba-97e3-4b610baae7f9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72bdd9e7-f0da-496f-9645-1fdb5c4eca45%26cache%3Dv2&w=108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나는 Amazon Linux 운영체제를 선택했기 때문에, 나의 username은
ec2-user
이다.☑️ 3) Password
패스워드는 EC2를 만들 때
Key Pair
를 설정했을 것이다. 그리고 컴퓨터에 저장되었을텐데, 해당 Key Pair 인증서가 비밀번호가 되는 것이다.✅ 2. EC2 로그인 (SSH)
SSH는 Server & Client 모델이다. 각 운영체제마다 접속하는 방식이 다르다.
☑️ 1) 클라우드를 통한 접속
AWS의 CloudShell - ssh cli 명령어를 통해 접속한다.
☑️ 2) Windows에서 접속
PuTTy, Xshell, MobaXterm 또는 ssh cli 명령어를 통해 접속한다.
☑️ 3) MacOS에서 접속
iTerm의 bash shell에서 ssh cli 명령어를 통해 접속한다.
✅ 3. Windows에서 로그인하기
일단, 윈도우즈에서 접속을 하려면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.
여기서는 Xshell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진행했다. 아래 사이트에서 이메일을 통해 무료 평가판을 다운받을 수 있다.
☑️ 1) Xshell 접속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26b52c29-1d7d-44fe-8a18-f5c0c0d4c184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6eef5468-35a6-4e05-92da-8151e6263d64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☑️ 2) 인스턴스 연결 정보 입력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a9ac36bd-f32a-4d71-bf47-b43f1fd82fdf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20d9fe13-b8eb-4541-a9c8-6dedc9d1191e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왼쪽 상단에 창+ 버튼을 눌러 새 세션을 등록한다.
입력창에 아래 정보를 입력한다.
- 이름: EC2 인스턴스 이름
- 호스트: 위에서 말한 퍼블릭 IP 주소
☑️ 3) 사용자 인증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5f59d562-57c3-4f43-aa9b-b8cf7cabde87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27e31ff5-c61d-4151-8fe4-ff5c8b5fab41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왼쪽에 사용자 인증 탭을 클릭하여
사용자 이름(위에서 말한 운영체제 별 사용자 이름)을 입력하고,
방법으로는 Password가 아닌, Public Key로 설정한다.
Public Key를 선택하고 오른쪽에 설정 버튼을 누른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f754369c-4058-4a50-b2e5-f44d9f578d8a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a3adeed1-22ff-44be-896c-e36b7545d577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찾아보기 → 가져오기를 통해 저장해 두었던 Private Key를 가져온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b1bd9983-a6fe-45cc-a51a-f33de3a5c03b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5363ef1b-578c-4aa2-84b9-65eadc9ee927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그리고 확인 버튼을 눌러 등록을 마친다.
☑️ 4) 연결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6cfd50b9-49f5-4c5f-a3d4-f60a2b211cc2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389c023e-ef85-4a6a-8213-d6ec3e771566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만든 세션을 더블 클릭하여 연결하면,
처음 연결 시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.
이때, 수락 및 저장을 클릭한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d53e5540-6e9f-478e-ad5e-7589a0195100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ab1a5ebf-69ca-4546-b737-d33351d6e471%26cache%3Dv2&w=108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이러한 창이 뜨면 연결에 성공한 것이다!
로그인 후에는 ip주소가 private ip 주소로 나타난다.
이제부터 여러가지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!
로그아웃을 원할 시에는
exit
을 입력하면 된다.☑️ 5) 주의사항
EC2 인스턴스를 중지시킨 후, 다시 시작하면 퍼블릭 IP 주소가 바뀔 것이다. (탄력적 IP주소를 사용하지 않는다면..!)
그러면 쉘도 해당 IP주소로 위와 같이 다시 접속해야 한다.
✅ 4. Xftp를 통해 Spring Boot 프로젝트 EC2에 올리기
☑️ 1)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
위 사이트에 들어가서, 원하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나는 아래와 같이 임의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f0e48780-f928-42bd-8c92-7d150c965730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7098348e-d70b-450a-85f4-3891250a5dd5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그리고 아래에 Generate를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다운받는다.
☑️ 2) Xftp 다운로드
위 사이트에서 Xshell을 다운받았을 때와 동일하게 Xftp를 다운로드 한다.
☑️ 3) Xftp 실행 후 세션 정보 입력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3968f5a4-f7d3-48c7-bb0e-cce94915d1e5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f1b93c8e-fdd4-42a5-a8fd-095e39c5ff69%26cache%3Dv2&w=2048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다운받은 Xftp를 실행한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a101d0a0-99e0-4f1f-8a5a-31f21bd1e2e6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cd53e8e8-eccd-4099-932c-ed807c8311f1%26cache%3Dv2&w=2048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아까와 마찬가지로 창+ 버튼을 눌러서 정보를 입력해준다.
- 이름: 인스턴스 이름
- 호스트: EC2 퍼블릭 IP 주소
- 나머진 그대로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7e6886e1-8ffc-469d-a7f0-898c8a4c2d45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2a3568fa-96f3-4f75-b50e-cfeb186870c8%26cache%3Dv2&w=2048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그리고 아까와 마찬가지로, 아래에 Public Key를 선택하여 설정을 누른 뒤, 컴퓨터에 저장된 키페어를 가져온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ba2df3ef-9ee6-46f0-a0e6-991959bd3ca0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80ce121e-8fd1-415f-87e1-9c3d21c4148d%26cache%3Dv2&w=2048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그리고 맨 아래에 사용자 이름을 입력한다.
AWS EC2 운영체제에 맞는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. (나는 Amazon Linux라
ec2-user
이다.)☑️ 4) 파일 전송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3281783f-326d-4f00-8d8b-909a5c07f6c5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fc87d1c6-5e83-4e36-97a3-194d4092e712%26cache%3Dv2&w=2048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위에서 만든 세션을 더블클릭하여 켠다.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55e5c234-3beb-4258-9d89-4b86f14f4d5b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7208a896-e1d7-4e33-b953-fd7e5894d2c3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아까 Spring Initializer를 통해 다운받은 Spring Boot 파일을 선택한 뒤, 위에 오른쪽으로 전송 버튼을 클릭하여 전송한다. (사실 더블클릭해도 된다)
☑️ 5) 전송 성공 여부 확인
![notion image](https://inblog.ai/_next/image?url=https%3A%2F%2Fwww.notion.so%2Fimage%2Fhttps%253A%252F%252F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%252Fe1a18480-88a4-46db-aa53-3a07d94ec86c%252F72a49041-865f-4776-ba1e-2d9b68c62350%252Fimage.png%3Ftable%3Dblock%26id%3D6b612202-475f-4220-a705-93f41f4df0e0%26cache%3Dv2&w=1920&q=75&dpl=dpl_9Fy5DR7iXit8HvYKCDvmsFiYTXKA)
전송 후, 다시 Xshell에 들어와 ls 명령어를 입력하면, 아까 전송한 파일이 잘 전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!
Share article